Bakive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

사람처럼 움직이는 로봇, 그 안엔 무엇이 들어있을까? 1. 센서(Sensor): 로봇의 오감,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창센서는 로봇의 '감각'입니다.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내부 상태를 감지하며, 로봇이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듭니다. 센서 없이는 로봇은 ‘장님에 귀머거리’ 일뿐입니다.주요 센서와 역할센서 종류주요 기능대응되는 인간 감각RGB/Depth 카메라객체 인식, 공간 인식, 거리 측정시각 (눈)LiDAR고정밀 거리 측정 및 맵핑공간 인식IMU (자이로+가속도계)자세 제어, 회전 감지, 중심 유지평형 감각 (내이)마이크+음성센서음성 인식 및 자연어 명령 수신청각 (귀)터치/압력 센서물체 접촉 감지, 힘 조절촉각 (피부)온습도/가스 센서환경 감지 (공장/화재 대응 등)온도 감각 (피부)예시테슬라 옵티머스는 RGB-D 카메라와 자이로센서,.. 2025. 4. 5.
테슬라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시작일까?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휴머노이드 로봇, 왜 지금 주목받는가?2025년, 테슬라는 자사의 AI 데이에서 발표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를 연내 생산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이 발표는 단순한 기술 과시를 넘어, 로봇 산업의 상용화가 본격화되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특히 테슬라처럼 자율주행 기술과 AI 알고리즘에 강점을 가진 기업이 뛰어든다는 점에서,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 '휴머노이드 관련주'에 대한 관심도 폭발적으로 높아지고 있죠.휴머노이드 로봇의 정의와 탄생 배경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은 인간의 신체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로봇으로, 보행·물건 조작·시각 인식·언어 이해까지 가능한 AI 기반 지능형 로봇입니다.초창기: 2000년대 초 혼다의 'ASIMO', 소니의 .. 2025. 4. 5.
마이크로디지탈의 일회용 바이오리액터 시장 경쟁력 분석 1. 마이크로디지탈과 '셀빅(CELBIC)' 기술 개요마이크로디지탈은 국내 최초로 일회용 바이오리액터(Single-Use Bioreactor, SUB) '셀빅(CELBIC)'을 개발한 기업으로, 독자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차별화오비탈 락킹(Orbital Rocking) 믹싱 시스템기존 교반기(임펠러) 없이 내용물을 부드럽게 혼합하여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고 배양 효율을 극대화함스케일업 용이성연구용 셀빅 5는 1~2.5L 소용량 배양이 가능하여 연구 단계에서 생산 단계로의 전환이 용이함플라스크 배양과 동일한 볼륨에서 바이오리액터 플랫폼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어 경제적 장점이 큼경제성임펠러 등 별도 장치 없이도 균질한 혼합이 가능해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 .. 2025. 4. 3.
싱글-유즈 바이오리액터 시장의 진입장벽과 글로벌 주요 기업 기술력 분석 1. 싱글-유즈 바이오리액터(Single-Use Bioreactor, SUB)란?싱글-유즈 바이오리액터(Single-Use Bioreactor, SUB)는 전통적인 스테인리스 스틸 바이오리액터와 달리 일회용 백(Bag)을 사용하는 배양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세척 및 멸균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현재 바이오 의약품 및 세포·유전자 치료제(cGMP) 생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장에 신규 기업이 진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높은 기술적 진입 장벽, 엄격한 규제 기준,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 기존 기업들의 강력한 시장 지배력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진입장벽과 관련 기업들의 기술력을 분석해 보.. 2025. 4. 3.
바이오리액터 시장 분석: 글로벌 규모, 주요 기업, 트렌드 및 미래 전망 바이오리액터는 생물학적 반응을 제어된 환경에서 수행하여 의약품, 백신, 바이오연료 등의 생산에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바이오의약품 및 생명공학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바이오리액터 시장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글로벌 바이오리액터 시장 규모, 주요 기업, 최신 트렌드 및 향후 전망을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글로벌 바이오리액터 시장 규모 및 성장률1.1 시장 규모 및 성장률2024년 기준 글로벌 바이오리액터 시장 규모는 약 52억 8천만 달러(USD 5.28 Billion)로 추정됩니다2030년까지 시장 규모는 약 93억 6천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10.3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출처: Mordor Intelligence) 1.2.. 2025. 4. 3.
CDMO/CMO 기업과 바이오리액터: 바이오의약품 생산의 핵심 기술 1. CDMO/CMO 기업과 바이오리액터의 관계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및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기업은 제약 및 바이오 기업을 대신해 의약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바이오리액터(Bioareactor)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CDMO/CMO 기업들은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 공정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바이오리액터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항체 치료제, 백신, 유전자 치료제 등의 생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 바이오리액터란?바이오리액터는 미생물, 세포, 효소 등의 생물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특정 물.. 2025. 4. 3.
미국과 유럽의 SMR 개발 차이점: 혁신과 현실의 경계 최근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SMR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SMR은 소형 모듈형 원자로로, 기존 원전보다 작고 효율적이며,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은 각기 다른 접근 방식으로 SMR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미국과 유럽의 SMR 개발 방향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만든 세 가지 핵심 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규제 및 인허가 환경의 차이미국은 SMR에 대한 규제 및 인허가 환경이 비교적 유연합니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SMR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소듐냉각고속로(SFR), 고온가스로(HTGR) 등 4세대 노형에 대한 연구와 실증을 장려하는 다양한 자금 지원 프.. 2025. 4. 2.
유럽, 3.5세대 SMR로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다 유럽은 전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 상업화를 이끈 주요 국가들이 다수 존재했던 원자력 강국입니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여러 국가들은 탈원전 정책을 강화하며 원자력 기술 경쟁력을 상실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커지며 원전 산업에 대한 불안감도 확산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와 공급망 불안은 유럽 국가들에게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대안으로 원자력을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EU)은 2024년에 'SMR 산업 동맹(SMR Industrial Alliance)'을 출범시켜, SMR(소형모듈원자로) 도입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