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kive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에너지 패권 전쟁, 결국 LNG선이 웃는다 미국과 러시아, 중동 그리고 유럽까지. 지금 글로벌 경제의 물밑에서는 에너지 패권을 둘러싼 전쟁이 치열하다. 특히 최근 미국 대선 레이스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에너지 시장에는 미묘한 긴장감과 동시에 기대감이 감돌고 있다. 그중 가장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LNG(액화천연가스), 그리고 이를 수송하는 LNG 운반선(LNG선) 시장이다.왜 지금 LNG선인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산 셰일가스 기반 LNG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인도 등 신흥국의 에너지 수요 증가, 중동과의 불안정한 관계까지 겹치면서 안정적 운송이 가능한 LNG선 수요가 급증 중이다. 특히 트럼프가 재집권할 경우, 셰일가스 수출 확대 .. 2025. 4. 16.
4조 원 대박 계약의 중심, 에이비엘바이오 'Grabody-B' 플랫폼이 뭐길래? 최근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글로벌 제약사 GSK와 체결한 4조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이 국내 바이오 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Grabody-B란 무엇인가?Grabody-B는 ABL Bio가 자체 개발한 혈액-뇌 관문(BBB, Blood-Brain Barrier) 투과 이중항체 플랫폼입니다. 일반적으로 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가장 큰 장벽은 이 혈액뇌관문을 넘는 것이죠. Grabody-B는 IGF1R(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을 타깃으로 하여, 항체나 치료 물질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돕습니다. 즉, 뇌에 직접 약물을 전달할 수 있게 만드는 ‘셔틀’ 같은 역할을 하는 플랫폼입니다.GSK와의 초대형 계약, 상세 분석계약 시점: 2025년 4월총 규모: 약 4조 원 (약 2.5억.. 2025. 4. 15.
사노피가 1조 투자한 ABL301, 도대체 뭐길래? 2022년, 글로벌 빅파마 사노피(Sanofi)가 에이비엘바이오의 ABL301에 약 1조 2천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을 단행하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이 집중됐습니다. 국내 이중항체 기술 중 최대 규모의 딜이자, 파킨슨병이라는 미충족 수요(Unmet Needs)를 겨냥한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죠.1. ABL301은 어떤 파이프라인인가?타깃: α-synuclein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형태: 이중항체 (BBB 투과형)기전: Grabody-B 기술을 이용해 혈뇌장벽(BBB) 통과 → 뇌 내 α-synuclein 제거ABL301은 파킨슨병의 주요 병리인자인 α-synuclein을 타깃으로 하며, 기존 항체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혈뇌장벽(BBB) 투과 이중항체입니다. 뇌 안으로 약물이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는 기.. 2025. 4. 15.
이중항체 기술로 글로벌 무대 노리는 에이비엘바이오, 진짜 잠재력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항암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바이오 기업입니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미국·유럽 학회에서의 임상 발표를 통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차세대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의미 있는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1. 에이비엘바이오 기업 개요설립 연도: 2016년코스닥 상장: 2018년대표이사: 이상훈 박사 (前 삼성바이오에피스 CTO)핵심 기술: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 Grabody-B에이비엘바이오는 면역항암제와 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양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이중항체 기술 기반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2. 이중항체란 무엇인가?기존 항체 치료제는.. 2025. 4. 15.
AACR 2025, 항암 신약의 판이 바뀐다! 국내 바이오 대장주 총출동 전 세계 항암 신약 기술의 향연, AACR 2025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학회입니다.올해는 특히 국내 유망 바이오 상장사들이 대거 참가하면서, 한국 바이오의 기술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과시할 기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각 기업의 파이프라인 기술력, 글로벌 기술이전 가능성, 라이선싱 아웃(L/O) 기대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절대 놓쳐선 안 될 모멘텀이라 할 수 있죠.국내 주요 참가 기업 및 발표 주제 한눈에 보기기업명발표 내용 및 주요 연구 주제에이비엘바이오 & 유한.. 2025. 4. 15.
국내 전고체 배터리 소재 기업 총정리 | 기술력과 CAPA로 본 투자 포인트 차세대 배터리로 각광받는 전고체 배터리. 그 핵심은 전해질과 음극재, 양극재의 혁신적인 소재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이끌고 있는 국내 상장사들의 기술력과 생산능력(CAPA)을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1. 포스코퓨처엠핵심 소재: 고니켈 양극재, 실리콘 복합 음극재기술력: 포스코그룹의 방대한 리튬/니켈 밸류체인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경쟁력: 전고체 배터리 적용 가능한 차세대 양극재 기술 선도.CAPA: 2024년 기준 양극재 연 10만 톤 이상, 2025년까지 16만 톤 목표.2. 레이크머티리얼즈핵심 소재: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알루미늄 니켈 타깃 등 박막소재기술력: 고체전해질을 원료 단계부터 양산 가능한 독자 제조공정 보유.경쟁력: 글로벌 OEM/배터리 기업들과.. 2025. 4. 14.
전고체 배터리의 모든 것,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쉽게 이해하기!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 전고체 배터리란?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처럼 액체 전해질이 아닌,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을 사용하는 이차전지입니다. ‘전고체’라는 말 그대로 전부 고체로 이루어져 있는 배터리인 거죠.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의 차이점항목리튬이온 배터리전고체 배터리전해질액체 (가연성 위험)고체 (비가연성, 안정성↑)안정성발화 위험 있음발화 위험 거의 없음에너지 밀도중간매우 높음작동 온도제한적고온에서도 안정 작동 가능제조 공정성숙개발 진행 중전고체 배터리의 제조 공정전고체 배터리는 구조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유사하지만, 고체 전해질 특성상 공정 방식이 크게 달라지는 부분이 있습니다.1. 전극 슬러리 제조 → 전극판 도포고체 전해질 분말과 활물질을 함께 혼합해 슬러리 형.. 2025. 4. 14.
이차전지 제조 공정 총정리 – 핵심 기술과 투자 포인트까지 한눈에!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전기차, 스마트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현대 산업의 핵심을 이루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향후 재생 가능 에너지 시스템에도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차전지의 주요 공정을 전문적인 시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각 공정에 사용되는 핵심 기술과 주요 기업들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1. 전극 공정 (Electrode Process) – 이차전지의 심장이차전지의 성능은 대부분 전극 공정에서 결정됩니다. 전극은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충전 속도, 수명 등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양극과 음극은 이차전지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좌우합니다.1.1 슬러리 제조전극을 만들기 위한..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