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배터리로 각광받는 전고체 배터리. 그 핵심은 전해질과 음극재, 양극재의 혁신적인 소재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이끌고 있는 국내 상장사들의 기술력과 생산능력(CAPA)을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포스코퓨처엠
핵심 소재: 고니켈 양극재, 실리콘 복합 음극재
기술력: 포스코그룹의 방대한 리튬/니켈 밸류체인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경쟁력: 전고체 배터리 적용 가능한 차세대 양극재 기술 선도.
CAPA: 2024년 기준 양극재 연 10만 톤 이상, 2025년까지 16만 톤 목표.
2. 레이크머티리얼즈
핵심 소재: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알루미늄 니켈 타깃 등 박막소재
기술력: 고체전해질을 원료 단계부터 양산 가능한 독자 제조공정 보유.
경쟁력: 글로벌 OEM/배터리 기업들과 기술 제휴 활발.
CAPA: 충남 아산 신규 라인 가동 시 연간 수 톤 수준의 시생산 → 양산 검증 단계.
3. SK아이이테크놀로지 (SKIET)
핵심 소재: 전고체용 세라믹 코팅 분리막 (CCS)
기술력: 세계 최고 수준의 리튬이온 전지용 분리막 기술에 기반한 고내열성 고체전해질 대응 코팅기술 개발.
경쟁력: 기존 설비 활용한 소재 대응 가능성 및 기존 고객 기반 확보.
CAPA: 폴란드 및 중국 공장 포함 연 20억 m² 이상 분리막 생산 능력.
4. 에코프로비엠
핵심 소재: 고니켈 양극재 (NCA, NCM)
기술력: 에코프로 계열사와 시너지를 통한 소재 순도 및 정밀제어 기술 확보.
경쟁력: 삼성SDI, SK온 등 국내 유수의 고객사와 공급망 형성.
CAPA: 2025년까지 누적 18만 톤 이상 양극재 생산능력 확보 계획.
5. 엔켐
핵심 소재: 고체 전해질 대응 전해액 및 고분자 전해질 소재
기술력: 유동성과 이온전도성이 높은 전해액 조성 특허 다수 보유.
경쟁력: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에 공급 이력.
CAPA: 국내 및 해외 공장 기준 전해액 생산능력 연간 5만 톤 이상.
6. 솔루스첨단소재
핵심 소재: 동박 및 고체전해질 대응 전해질 소재 개발 중
기술력: 유럽 공장 기반 전고체 대응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중
경쟁력: LG에너지솔루션의 전고체 배터리 프로젝트 참여
CAPA: 연간 2.5만 톤 이상의 동박 생산능력, 전고체 대응 라인 확대 예정.
4680 배터리 이후, 차세대 배터리는 어디로 향할까?
테슬라의 4680 배터리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하나의 혁신적 전환점이었습니다. 그러나 기술은 늘 진화합니다. 과연 4680 이후의 배터리 시장은 어떤 기술로 향하고 있을까요? 투자자 입장에서
b.goodoha.com
이차전지 제조 공정 총정리 – 핵심 기술과 투자 포인트까지 한눈에!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전기차, 스마트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현대 산업의 핵심을 이루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핵심 기술로 자리
b.goodoh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