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80 배터리 이후, 차세대 배터리는 어디로 향할까?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680 배터리 이후, 차세대 배터리는 어디로 향할까?

by 바카이브 2025. 4. 11.
반응형

테슬라의 4680 배터리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하나의 혁신적 전환점이었습니다. 그러나 기술은 늘 진화합니다. 과연 4680 이후의 배터리 시장은 어떤 기술로 향하고 있을까요? 투자자 입장에서 다음 시장의 흐름을 읽는 건 수익률을 좌우하는 핵심이 됩니다.

1. 4680 그 이후, 대형 셀의 진화는 계속된다

테슬라의 4680 셀은 직경 46mm, 높이 80mm의 원통형 배터리로, 기존 2170 대비 약 5배의 에너지 저장 용량을 지니며 제조 효율까지 끌어올렸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4695', '46120' 셀에 대한 논의도 이미 시작됐습니다. 대형 셀은 생산성이 높고, 팩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물류, 상용차, 픽업트럭 등에 적합합니다.

2. 전고체 배터리: 진짜 게임 체인저?

리튬이온 배터리의 최대 약점은 바로 발화 위험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가 주목받고 있죠. 도요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 스타트업들까지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며, 2027~2030년 사이 양산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고체 배터리 구조(출처: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전 속도 역시 기존 리튬이온 대비 2~3배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고체 전해질의 재료적 특성과 공정 난이도 때문에 아직까지도 가격과 양산 기술에서 많은 장벽이 존재합니다.

3. 셀-투-팩(CTP) & 셀-투-차체(CTC): 구조 혁신의 중심

배터리 셀 자체의 기술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팩 구조 혁신입니다. 중국 CATL이 주도하는 CTP(Cell-to-Pack), Tesla가 추진하는 CTC(Cell-to-Chassis)는 중간 모듈 없이 셀을 바로 팩이나 차체에 통합시키는 구조로 무게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끌어올립니다.

 

이런 구조적 혁신은 셀 기술과 완벽한 호환이 필요하므로, 결국 배터리 셀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야 하는 중요한 축입니다. 4680 배터리는 사실상 CTC 구조를 전제로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이 흐름과 직결된 기술이기도 하죠.

전기자동차 셀투팩(CTO(출처: 삼성SDI)

4. 각 기업의 차세대 전략은?

  • 테슬라: 건식 전극 공정 완성도 높이며, 향후 4695 셀 테스트 중
  • 삼성SDI: 고전압 전고체 셀 개발 중, 2027년 양산 목표
  •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 전해질 합작법인 추진, 파우치형 강화 전략
  • CATL: CTP 3.0 기술로 1000km 주행거리 셀 출시 예정
  • 파나소닉: 테슬라 전용 4680 양산 + 차세대 대형 셀 설계 동시 진행

5. 투자자라면 주목해야 할 포인트

기술은 항상 진화하고, 그 진화의 속도를 맞추는 기업이 시장에서 살아남습니다. 4680 이후의 흐름은 전고체, 대형 셀, 구조 혁신(CTP, CTC) 이 세 가지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기술들을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특허, 연구개발(R&D), 캐파 투자 현황을 꾸준히 체크하는 것이 투자 전략의 핵심입니다.

 

특히 삼성SDI와 LG엔솔의 기술 발표 및 테슬라의 생산 실적, CATL의 중국 내 신규 계약 뉴스는 꼭 챙겨야 할 정보입니다.

 

 

2025년 3분기, 4680 배터리 양산 본격화! 테슬라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움직임은?

전기차 시장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4680 배터리의 양산이 2025년 3분기부터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테슬라를 비롯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전략과 움직임을 살펴보겠습니다.4680 배터리란?4680 배터

b.goodoha.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