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TGV 기반 Glass 기판의 회로 Build-Up 공정 - 핵심 기술과 전망

바카이브 2025. 3. 20. 16:44
반응형

반도체 패키징의 혁신을 이끄는 TGV(Through Glass Via) 공정이 마무리되면, 다음 단계로 회로 Build-Up 공정이 진행된다. 이 과정은 기존의 패키지 기판 제조 기술과 유사하지만, 기판 소재가 FR-4(유리 섬유 기반)에서 유리(Glass)로 변경되면서 추가적인 기술적 도전이 따른다. 특히,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리기판의 회로 형성 기술은 향후 반도체 업계의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1. TGV 후속 공정 - 회로 Build-Up의 핵심

TGV 공정을 통해 유리 기판에 미세한 홀을 형성하고 구리 도금까지 완료되면, 그다음으로 회로 Build-Up 공정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ABF(Anjinoma Build-up Film) 합착 및 드릴링

  •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에서는 기판 간의 신호 간섭 방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절연 소재인 ABF가 사용된다. ABF는 회로 패턴을 보호하고 신호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ABF 필름을 유리 기판 위에 부착하고, 이후 회로 패턴 및 스카이브 가공을 진행한다.
  • 스카이브 가공은 금속 층을 얇게 절삭하여 세우는 방식으로, 고밀도 회로 패턴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공정이다.
  • ABF 합착 이후, 레이저 드릴링을 통해 기판 내부에 미세한 홀을 형성한다.

ABF(출처: Anjinomoto)

  • ABF필름 공급 업체: 일본 아지노모토(주요 공급사), 국내 동진쎄미켐(국산화 성공)
  • 드릴링 장비: 필옵틱스, 이오테크닉스

 

② PR(Photo Resist) 도포 및 노광 공정

유리 기판 위에 PR(Photo Resist, 감광액)을 도포한 후,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노광(Exposure) 공정이 진행된다.

  • 기존 PCB 공정과 유사하지만, 유리 기판의 표면 에너지가 낮아 PR의 접착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표면 처리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Maskless 노광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 기존 포토마스크 방식 대비 공정 비용 절감 및 정밀도 향상 가능
  • 미세 패턴(초미세 선폭) 구현이 가능하여, 첨단 반도체 패키징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Photoresist(출처: 삼성전자)

  • PR 공급 업체: 와이씨켐(국내 공급사)
  • 노광 장비: AMAT, 필옵틱스(DI 노광기)

 

③ 구리 도금 및 반복적인 Build-Up 공정

TGV 공정에서 형성된 홀 내부 및 배선층에 균일한 구리 도금을 진행한 후, ABF 드릴링 및 노광 공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배선층을 형성한다.

  • 일반적으로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5~10번의 반복적인 Build-Up 공정이 수행된다.
  • 반복 공정 후, 유리 기판의 최종 형태를 갖추게 된다.

 

동도금(출처: 와이엠티)

④ Singulation - 최종 Glass 기판 절단 공정

모든 Build-Up 공정이 완료되면, Glass 기판을 개별 기판 단위로 절단(Singulation)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Singulation 공정은 기판을 개별 패키지 형태로 분리하는 마지막 단계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 유리는 기존 FR-4 소재보다 단단하여 정밀한 절단 기술이 필요하며, 절단 시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Singulation(출처: SK하이닉스)

Singulation 장비 업체: 필옵틱스, 로체시스템즈(국내 기술 보유)

 

2. 유리기판 회로 Build-Up 공정의 미래 전망

① 반도체 패키징에서 Glass 기판 채택 증가

현재 반도체 업계에서는 첨단 패키징(Advanced Packaging)의 발전과 함께 Glass 기판이 점차 주목받고 있다.

  • 기존 FC-BGA(Flip Chip Ball Grid Array) 기판 대비 더 높은 주파수 대응력 및 신호 간섭 최소화 가능
  • 고성능 AI 반도체 및 고대역폭 메모리(HBM) 패키징에서 Glass Core Substrate(GCS) 적용 가능성 증가

 

② Maskless 노광 및 신규 가공 기술의 도입

  • 기존 포토마스크 기반 공정은 비용이 높고 미세 패턴 구현 한계가 있음
  • Maskless 노광 방식은 공정 비용 절감 및 고해상도 패턴 구현 가능
  • 기존 PCB 공정 업체들의 기술력이 Glass 기판에도 적용될 전망

 

③ 국내 장비 및 소재 업체의 성장 기회

Glass 기판 공정은 기존 실리콘 기반 패키징 공정과 차별화된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국내 장비 및 소재 업체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ABF 필름: 동진쎄미켐
  • PR 감광액: 와이씨켐
  • 구리 도금 및 표면처리: 와이엠티, 씨앤지하이테크
  • 노광 및 드릴링 장비: 필옵틱스, 이오테크닉스
  • Singulation 장비: 필옵틱스, 로체시스템즈

 

3. Glass 기판 회로 Build-Up, 차세대 패키징의 핵심 기술

TGV 공정을 통한 Glass 기판이 반도체 패키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면서, 회로 Build-Up 기술 또한 기존 PCB 패키징 업체들의 기술력과 융합될 전망이다.

  • ABF 필름을 활용한 절연층 형성 및 미세 패턴 가공
  • Maskless 노광을 통한 초미세 배선 형성 기술 발전
  • Glass 기판의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균일한 구리 도금 및 밀착력 확보

이러한 기술 발전과 함께 국내 반도체 패키징 및 소재 업체들도 Glass 기판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리기판: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혁신의 핵심

반도체 패키징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기존 기판이 가진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대안이 필요해지고 있다. 특히, AI 및 고성능 컴퓨팅(HPC)의 발전과 함께 패키지 기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b.goodoha.com

 

 

반도체 인터포저(Interposer)란? 차세대 패키징의 핵심 기술

최근 반도체 업계에서 고성능 패키징(Advanced Packaging) 기술이 급부상하면서, 인터포저(Interposer)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반도체,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센터 등의 시장이 성장

b.goodoha.com

 

 

유리기판 혁신! TGV 공정과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

반도체 패키징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유리기판(Glass Substrate)이 차세대 패키징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TGV(Through Glass Via) 기술은 기존의 실리콘 인터포저(TSV)나 FR-4 기판을 대체할 수

b.goodoha.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