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항체 기술로 글로벌 무대 노리는 에이비엘바이오, 진짜 잠재력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중항체 기술로 글로벌 무대 노리는 에이비엘바이오, 진짜 잠재력은?

by 바카이브 2025. 4. 15.
반응형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항암 및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바이오 기업입니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미국·유럽 학회에서의 임상 발표를 통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차세대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의미 있는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1. 에이비엘바이오 기업 개요

  • 설립 연도: 2016년
  • 코스닥 상장: 2018년
  • 대표이사: 이상훈 박사 (前 삼성바이오에피스 CTO)
  • 핵심 기술: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 Grabody-B

에이비엘바이오는 면역항암제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양축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이중항체 기술 기반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2. 이중항체란 무엇인가?

기존 항체 치료제는 하나의 타깃만 인식하지만,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y)는 두 개의 항원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항체입니다. 이를 통해 면역세포를 종양세포에 직접적으로 유도하거나, 두 가지 신호를 동시에 차단·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Grabody 플랫폼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이중항체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Grabody-T: 면역세포 활성화를 유도하는 면역항암용 플랫폼
  • Grabody-B: 혈뇌장벽(BBB)을 투과해 뇌질환 치료제를 운반할 수 있는 플랫폼

항체의 구조
항체의 구조

3. 글로벌 기술이전 성과

에이비엘바이오는 설립 이후 꾸준히 파이프라인을 확장하며 다수의 기술이전을 성사시켜 왔습니다. 특히, 2022년 프랑스 사노피(Sanofi)와 체결한 1조 2천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은 국내 이중항체 기업 중 최대 수준의 계약으로 기록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년도 기술이전 대상 계약 파이프라인 계약 규모
2022 Sanofi ABL301 (BBB 투과 이중항체, 파킨슨병) 약 1.2조 원
2021 하나제약 ABL001 (항암 이중항체) 약 573억 원
2019 트리거테라퓨틱스 ABL001 약 600억 원

4. 주요 파이프라인 현황

  • ABL301: 파킨슨병 치료용 BBB 투과 이중항체 (Sanofi와 공동 개발)
  • ABL111: Claudin18.2 표적 위암/췌장암 이중항체 (병용 임상 진행 중)
  • ABL103/105/602: 면역관문 및 면역세포 활성 타깃의 이중항체군

이 파이프라인들은 AACR, ASCO, CTAD 등 국제학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일부는 글로벌 제약사와의 추가 협업 및 라이선스 아웃 가능성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5. 투자자 관점의 시사점

  • 이중항체는 단일항체 대비 시장 확장성 크며, 향후 신약 가치 상승 여지 충분
  • BBB 투과 기술은 글로벌에서도 희소한 기술로, CNS 질환 치료제 개발의 핵심
  • 기술이전 트랙레코드와 글로벌 학회 발표력 → 기업가치 제고 신호

 

 

AACR 2025, 항암 신약의 판이 바뀐다! 국내 바이오 대장주 총출동

전 세계 항암 신약 기술의 향연, AACR 2025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는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항암 신약 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