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휴머노이드 하드웨어 기술력 비교: 누가 진짜 강자인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휴머노이드 하드웨어 기술력 비교: 누가 진짜 강자인가?

by 바카이브 2025. 4. 7.
반응형

 

 

테슬라의 옵티머스가 주목받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불이 붙었습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우리나라에도 그런 기술력이 있는 기업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점점 커지고 있죠. 결론부터 말하면, 있습니다. 그리고 꽤나 수준도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휴머노이드 하드웨어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상장사들—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로보틱스, 티엑스알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그리고 알에스오토메이션—의 기술력을 차근차근 살펴보려 합니다.

 

전문가 관점에서 서술하되, 투자를 고려하는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풀어서 설명할게요.

1. 레인보우로보틱스: 정밀 관절과 밸런스 기술의 강자

레인보우로보틱스는 KAIST 휴보 연구팀 출신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인간형 로봇 관절 기술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자랑합니다. 이 회사는 ‘RB 시리즈’라는 협동로봇을 상용화하면서 얻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금은 이족보행 로봇 RB-이브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핵심 경쟁력은 '실시간 자세제어 알고리즘'과 고토크 관절모듈에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로봇이 넘어지지 않고 유연하게 걷고, 사람처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관절에 들어가는 감속기, 서보모터, 제어기까지 모두 자체 개발한 것도 강점이죠.

레인보우로보틱스 RB-Y1(출처: 레인보우로보틱스)

2. 유일로보틱스: 초정밀 감속기 국산화의 선두주자

유일로보틱스는 감속기 전문 기업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핵심 관절 부품인 하모닉 감속기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감속기는 로봇의 '관절 근육'과 같은 부품으로, 속도와 힘을 조절하는 데 꼭 필요합니다.

 

일본 나브테스코의 독점적 기술이던 이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유일로보틱스는, 높은 정밀도와 내구성을 갖춘 감속기를 양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췄습니다. 국내 로봇 생태계에 있어 ‘수입 대체’의 의미로도, 기술 경쟁력으로도 무척 중요한 기업입니다.

3. 티엑스알로보틱스: 액추에이터 일체형 관절 기술의 혁신

티엑스알로보틱스는 전기 구동 기반의 일체형 액추에이터 모듈에 특화된 기업입니다. 이 모듈은 관절을 구성하는 모터, 감속기, 센서, 제어기 등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해 설계한 것으로, 로봇 설계의 효율성과 경량화에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 회사는 이미 다관절 로봇팔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다양한 플랫폼과도 호환 가능한 범용성을 갖춘 것이 장점입니다.

 

특히 빠른 응답성과 내구성이 강조되어, 산업용뿐만 아니라 인간형 로봇에도 적합한 구조입니다.

4. 하이젠알앤엠: 로봇 구동 모듈 및 감속기의 숨은 강자

하이젠알앤엠은 서보 모터 및 감속기 기반의 정밀 구동 시스템을 개발해 온 회사입니다. 국내 로봇 업체들에 꾸준히 부품을 공급해 왔고, 최근에는 자체적인 액추에이터 솔루션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로봇의 ‘힘줄’과 같은 역할을 하는 모듈을 자체 설계·생산하면서, 고출력·저소음·고내구성 세 박자를 고루 갖췄습니다. 기존 산업 로봇에서 인간형 로봇으로 확장 가능한 기술 체계를 갖춘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이젠알앤엠 H1 Servo Motor(출처: 하이젠알앤엠)

5. 알에스오토메이션: 정밀 제어와 AI 통합의 하이엔드 솔루션

알에스오토메이션은 서보 제어기, 드라이브, 모션컨트롤러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휴머노이드 로봇에 최적화하기 위한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지능형 서보 시스템’을 통해 관절 단위의 정밀 제어를 가능케 하는데요, 이는 단순한 구동을 넘어 인간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모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최근에는 AI 기반 학습 제어 기술까지 흡수하며, 휴머노이드의 뇌와 신경망을 구성하는 회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알에스오토메이션 CSM Motor(출처: 알에스오토메이션)

기술 비교 정리

  • 레인보우로보틱스: 전체 구조 및 관절 제어 중심. → 완성형 이족보행 로봇 개발
  • 유일로보틱스: 감속기 국산화. → 외산 의존도 낮추는 핵심 부품
  • 티엑스알로보틱스: 액추에이터 일체형 모듈. → 경량화와 빠른 반응성
  • 하이젠알앤엠: 고출력 정밀 구동 모듈. → 다양한 로봇 플랫폼에 적용 가능
  • 알에스오토메이션: 고지능 서보 제어 시스템. → 휴머노이드의 ‘뇌’ 역할

 

마치며

로봇 산업은 이제 산업용 팔만 만들던 시대에서, 인간과 비슷하게 움직이는 휴머노이드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정밀도, 신뢰성, 확장성에서 어느 정도 역량을 갖춘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역시 글로벌 로봇 전쟁의 플레이어로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년 안에 이 기업들 중 하나 혹은 복수의 기업이 글로벌 로봇 생태계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지도 모릅니다. 지금은 그 초입이며, 투자자 여러분에게는 매우 흥미로운 지점이죠.

 

 

 

알에스오토메이션 – 휴머노이드 시대의 관절을 움직이는 핵심 기술주

왜 지금 ‘알에스오토메이션’인가?2024년 테슬라 옵티머스의 본격적인 양산 소식과 함께, 전 세계가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의 개막을 직감했습니다.이제는 단순한 상상이 아닌, 실제 산업

b.goodoha.com

 

 

알에스오토메이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연결 종속회사 전략과 기술력 집중 분석

알에스오토메이션(RS Automation)은 국내 모션 제어 솔루션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는 기업으로, 최근 들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확대, 스마트팩토리 보급, 에너지 전환 흐름에 발맞춰

b.goodoha.com

 

반응형

댓글